엘라스틱서치10 3. 시스템 구조 3. 시스템 구조 엘라스틱서치는 항상 클러스터로 동작한다. 1개의 노드만 있어도 클러스터로 구성된다. 클러스터 구성 9200~9299: 클라이언트와 통신하기 위한 http 포트 9300~9399: 노드 간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tcp 포트 물리 서버마다 하나의 노드를 실행하는 것을 권장한다. 같은 물리 서버 내라고 해도 cluster.name이 같아야 같은 클라이언트로 인식한다. bin/elasticsearch -Ecluster.name=~ -Enode.name=~ 으로 실행 시 옵션을 지정한다. 엘라스틱서치 실행 후 로그에서 포트 바인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모든 클러스터에는 반드시 하나의 마스터 노드가 존재한다. 디스커버리 같은 서버, discovery.seed_hosts에 설정된 네트워크 상의.. 2021. 8. 31. 2. 시작하기 2. 시작하기 용어정리 인덱싱(색인) : 데이터를 검색될 수 있는 구조로 변경하기 위해 원본(소스)을 검색어 토큰들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과정 인덱스: 색인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소. 도큐먼트의 논리적 집합의 단위 검색: 인덱스에서 검색어 토큰들을 포함하고 있는 문서들을 찾아가는 과정 질의: 문서를 찾거나 집계하기 위한 검색어와 검색 조건 환경설정 노드들의 역할을 나누거나 클러스터의 속성을 결정한다. ~./config 경로 아래의 파일을 변경하거나 엘라스틱서치 실행 시 옵션으로 설정할 수 있다. ~/.config/jvm.options : JVM 힙 메모리 설정한다. 시스템 메모리 절반은 루신파일 캐시을 위해 남겨두어야 한다. ~/.config/elasticsearch.yml : 엘라스틱서치와 관련된 대부.. 2021. 8. 31. 1. 서문 1.서문 Elasticsearch는 전문검색뿐 아니라 보안, 로그 분석 등 다양하게 이용된다. Elasticsearch는 주로 ELK 스택, Elasticsearch, Logstash, Kibana와 함께 쓰이며 경량 데이터 수집기인 Beats와도 같이 쓰인다. 모니터링, 클라우드, 머신러닝 서비스도 제공한다. Elasticsearch 데이터를 색인하고, 저장하고, 검색 및 집계 기능 등을 수행한다. 뛰어난 검색 능력과 대규모 분산시스템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법은 간단하다. 실시간으로 인덱싱하자마자 검색 및 집계가 가능하다. Full Text (전문) 검색 및 다양한 점수 기반의 다양한 정확도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내부적으로 Inverted File Index 구조를 사용한다. 사용자 관점으로는 .. 2021. 8. 3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