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 4강 - Application Layer의 소개

by N.Damgom 2020. 8. 5.

우리는 일상적으로 웹서핑을 하거나 보이스톡으로 대화를 하면서 게임을 한다. 이전의 포스팅에서 얘기했듯이 평소 사용하는 프로그램 대부분은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그러므로 먼저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살펴보도록 하자.

 


클라이언트 - 서버 아키텍쳐

  • 클라이언트란?
    • 클라이언트 프로세스는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프로세스이다. 예를들어 웹클라이언트( == 웹브라우저)는 웹서버에게 웹 서비스를 요청(Request)하고 웹서버로부터 응답(Response)을 받는다
    • 클라이언트는 서비스를 받는 입장이므로 당연히 클라이언트끼리 직접적으로 통신하지않는다.
    • 항상 켜져있을 필요도 없고 서버는 특정 클라이언트가 고유하게 누군지 식별할 필요 없으므로 고정된 IP가 필요없다.
  • 서버란?
    • 서버 프로세스는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프로세스이다. 예를들어 웹서버는 웹클라이언트에게 요청을 받아서 필요한 경우 Database나 다른 서버들과 통신하여 응답을 만들어 클라이언트에게 보낸다.
    • 클라이언트는 특정 서버를 고유하게 알고있어야 하므로 고정 IP를 가져야한다.(변동 IP도 가능하긴 하나 논외로 하자. 본질적으로는 고정 IP가 필요하다.)
    • 여러 클라이언트들이 언제든지 요청을 보낼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켜져있는 상태여야한다.
  •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구분
    • 서버인지 클라이언트인지 헷갈릴 때는 이렇게 구분하자.
    • 클라이언트는 통신을 시작하는 프로세스이다.
    • 서버는 통신을 기다리는 프로세스이다.
  • 다른 호스트에 있는 프로세스들은 메세지를 교환함으로써 통신한다.

 


P2P 아키텍쳐

  • P2P 아키텍쳐란?
    • P2P 아키텍쳐에 참여하는 어떤 호스트가 서버이기도 하고 클라이언트이기도 하는 아키텍쳐다.
    • 예를들어 P2P 파일 공유 서비스를 생각해보자. 한 사용자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파일을 전송받기도 하고 동시에 다른 사람에게 파일을 전송해주기도 한다.
    • 항상 켜져있는 서버가 없고 사용자는 서버 역할을 동시에 하므로 사용자가 늘어나면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는 능력(Capacity)도 늘어나는 Self-Scalability한 특징을 가진다.
    • 임의의 Endsystem을 peer라고 한다.
    • 당연히 관리가 복잡하다.

소켓, Socket

  • 잠깐 복습하자면 인터넷 계층은 애플리케이션-전송-네트워크-링크-물리 계층순이다.
  • 소켓이란 계층간의 인터페이스이다.

포트, Port

  • Multi-Programming OS에서는 한 호스트에서 여러 프로세스가 실행중일 수 있다.
  • 포트(Port)는 여러 프로세스 중 통신하고자 하는 프로세스를 구분하는 ID이다.

 

애플리케이션마다 원하는게 달라!

  • Application마다 제각기 목적이 있다. 예를들어 멜론은 오디오 재생이 목적이고, 카카오톡은 메세지 전송이 목적이다.
  • 목적이 다르면 요구하는 성능도 다르다. 세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자.
  • Data Integrity
    • File Transfer는 예민하다
    • Audio는 순간적으로 잡음이 발생도 큰 문제는 아니다.
  • Timing
    • Game은 예민하다.
    • File Transfer는 덜 예민하다.
  • Throughput
    • Streaming은 최소한의 프레임이 유지되어야 하므로 예민하다.
    • File Transfer는 당연히 덜 예민할 것이다.

인터넷 Transport 계층의 두 프로토콜, TCP와 UDP

  • Transport 계층은 후에 자세하게 다루므로 여기서는 간단히만 알아보자.
  • TC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말 그대로 전송 제어를 담당하는 프로토콜이다.
    • 믿을만한 (reliable) 전송을 보장해준다.
    • Flow, Congestion Control을 제공해준다.
    • Connection Oriented : 서로 커넥션을 맺고 통신한다.
    • Timing, min throughput, security는 보장하지 않는다.
    • 기능이 많은 많큼 Overhead도 크다.
  • UDP : User Datagram Protocol, TCP와 달리 Control이 들어가있지 않다.
    • Unreliable한 전송을 한다.
    • Flow, Congestion Control 없이 최선을 다해서 전송한다.
    • Application 계층에서 Integrity를 체크하는 경우 UDP를 사용한다.
    • 최선을 다해서 전송하므로 Real Time에 적합하다.
    • http 3.0은 UDP를 사용한다.

Application-Layer Protocol

  • 무엇을 정의하나?
    • 메세지의 타입
      • 이 메세지가 서버에게 요청을 보내는 Request인지
      • 서버의 응답인 Response인지 구분한다.
    • 메세지의 문법(Syntax)
      • 메세지를 몇비트씩으로 쪼개서 그 부분엔 어떤 필드를 넣을까?
      • 예를들어 메세지의 첫 1비트는 메세지의 타입을 명시하자!라고 정할 수도 있다.
    • 메세지의 의미(Sementics)
      • 그래서 이 처음 1비트의 1과 0이 Request야 Response야?
      • 무슨 의미인지 정의한다.
    • 전송, 응답 규칙
  • Web과 Http 프로토콜
    • Web은 World Wide Web (www)의 약자로서 인터넷 상에서 동작하는 정보교류 서비스이다. 
    • Http 프로토콜은 Web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 Web 페이지는 URL(Universal Resource Locater)로 연결된 Html 파일, 자바스크립트, 이미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이런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항목들을 Object라고 한다.
    • 웹페이지는 Base Html파일 아래 여러 오브젝트들이 연결된 형태다.
  • Http의 개괄적인 내용
    • Http는 Web상에서 정보(문서)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 문서 전송도 File Transfer이므로 앞에서 얘기했듯이 Data Integrity가 Critical하게 중요하다!
    • 그러므로 UDP가 아닌 TCP를 이용한다. (http 3.0은 최적화를 위해 UDP를 사용한다.)
    • Http 자체는 Stateless하다
      • 예를들어 로그인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매번 로그인을 해야한다고 생각하자
      • 쿠키를 사용해서 session-id로 stateless한 특성을 보완할 수도 있다.
    • Non-persistent http VS Persistent http
      • 한번 맺어진 tcp 커넥션을 재사용 하냐 / 안하냐의 차이다.
      • Non-persistent는 Base Html파일에 담겨진 Object마다 새로 TCP연결을 맺어 가져와야하므로 성능저하가 크다.
      • 다음 글에서 조금 더 자세히 다루겠다.

 

 

 

 

더보기

본 게시물은 kocw 이화여자대학교 이미정 교수님의 컴퓨터 네트워크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임을 밝힙니다.

내용상 틀린 부분이 있을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틀린 부분이나 오타 지적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www.kocw.net/home/cview.do?cid=e44bdd9b3a3f9bb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