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 20강 - 링크 계층

by N.Damgom 2020. 8. 16.

지난번 포스팅을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레이어에 대해 공부했다. 이번 글에선 2번째 Layer인 Link Layer에 대해서 간단하게 공부해보자.

 


MAC Address와 ARP

  • MAC Address란?
    • Mediam Access Control의 약자이다.
    • 48비트의 주소를 가진다.
    • 링크 계층(LAN 상에서)에서 NIC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이다.
    • NIC 생산 시에 하드웨어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 ARP란?
    •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이다.
    • ARP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이다.
    • ARP는 IP주소를 가지고 맥주소를 알아오는 역할을 한다.
    • 맥주소를 알아야 링크 계층에서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 ARP 테이블
    • <IP Address, MAC Address, TTL>로 구성된다.
    • ARP를 이용해서 ARP 테이블을 만든다.
    • TTL을 보통 20분 정도 유효하다.
  • 상대방의 MAC주소를 모른다면 물리적으로 링크에 실을 수 없다.
    • ARP Request 쿼리 패킷에 맥주소를 알고자 하는 호스트의 IP를 담아서 브로드캐스팅한다.
    •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받은 해당 호스트는 자신의 맥 주소 Reply해준다.
    • Host는 IP to MAC 매핑을 ARP 테이블에 '캐싱'하고 있다.
    • 테이블에 캐싱하는 이유는 매번 통신할 때마다 ARP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이다.
  • ARP는 링크계층에서의 DNS와 같다.

Routing to Another Lan

  • 다른 LAN에 있는 호스트로 IP datagram을 보내보자.
    • A는 DHCP에 의해 Gateway Router의 IP주소를 알고 있다.
    • Gateway Router의 Mac 주소를 알기 위해 ARP 프로토콜의 브로드캐스팅을 사용한다.
    • Frame의 src에는 A의 맥주소를, dest에는 Gateway Router의 맥 주소를 적는다.
    • Gateway Router는 dest를 보고 Network 계층으로 올려보낸다.
    • Gateway Router와 B 사이의 통신도 앞의 내용을 반복한다.

 

 

 

더보기

본 게시물은 kocw 이화여자대학교 이미정 교수님의 컴퓨터 네트워크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임을 밝힙니다.

내용상 틀린 부분이 있을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틀린 부분이나 오타 지적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www.kocw.net/home/cview.do?cid=e44bdd9b3a3f9bb5